-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vs 거시경제학이란(Macroeconomics)?경제상식/경제교육 2020. 9. 7. 13:10728x90
https://happytreehappy.tistory.com/8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란
학문마다 여러 종류의 연구 분야가 있다. 생물학을 예로 들어보자. 분자생물학은 생물의 화학적 구성을 세포생물학은 그 자체가 여러 가지의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생물체를 구성하는
happytreehappy.tistory.com
미시경제학Micro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31XXXXXX5858미시경제학
개별경제주체들의 경제행위와 그 상호작용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분야이다. 미시경제학은 가계와 기업의 경제행위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립하는 시장가격을 분석하며, 따라서 미시�
100.daum.net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사람들이 어떤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이러한 결정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연구하는 경제학 분야이다
거시경제학Macro
https://ko.m.wikipedia.org/wiki/%EA%B1%B0%EC%8B%9C%EA%B2%BD%EC%A0%9C%ED%95%99거시경제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시경제학(巨視經濟學, 영어: macroeconomics)은 크게 봤을 때 미시경제학과 더불어 경제학을 이루는 양대 학문 중 하나로, 나무가 아닌 숲 전체를 보는 개념의 학문이다. 거시경제학은 모든 개별경
ko.m.wikipedia.org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경제 전반의 호황기와 불황기에 관심을 갖는 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반응형'경제상식 > 경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분석 기초 ⑦ - 세계 및 한국 경제에 영향 미치는 중국 물가상승률과 수입증가율 (0) 2020.09.07 거시경제분석 기초 ⑥ - 중국경제 알기 위해 꼭 챙겨야 할 대표적인 지표들 (0) 2020.09.07 거시경제분석 기초 ⑤ - 서로 다른 국가가 모인 유럽경제 통계를 보는 법 (0) 2020.09.07 거시경제분석 기초 ④ - 전세계 무역 흐름 현황을 파악하는 방법 (0) 2020.09.07 “워런 버핏, 8번의 경제위기에 대응한 3대 원칙" (0) 2020.09.07 [CEOin마켓] 송진호 KR선물 대표 "해외선물은 제로섬 게임 공부하는 투자자만 성공" (0) 2020.09.02 (경제교육)유상증자 관련 기사 (0) 2020.09.02 경제신문 읽을때 어려운 경제용어 넘으면 경제상식이 더욱더 풍부해진다! (0) 20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