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文 대통령 베이징대 연설... 공부할 내용 따로 정리경제뉴스 2017. 12. 15. 16:22728x90
[전문]文 대통령 베이징대 연설... 공부할 내용 따로 정리
....
18세기 조선의 실학자 박제가는 베이징을 다녀 온 후, 중국을 배우자는 뜻으로 '북학의'라는 책을 썼습니다.
"중국은 말과 글이 일치하며 집은 금색으로 채색되었다. 수레를 타고 다니며 어느 곳이든 향기로운 냄새가 난다. 사람들이 활기차게 거니는 풍경은 한 폭의 그림과도 같다"고 했습니다.
같은 시대 베이징에 온 홍대용이란 학자는 엄성, 육비, 반정균 등 중국학자들과'천애지기(天涯知己)'를 맺었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를 알아주는 각별한 친구'라는 뜻입니다. 그는 중국의 친구들이 "도량이 넓고 기운이 시원스럽다"고 남겼습니다.
지금 이 '천애지기'가 수만으로 늘어나 있습니다. 한국에는 중국유학생 6만8000명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중국에는 한국유학생 7만 3000명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
한국인들은 지금도 매일 같이 중국 문화를 접합니다. 많은 소년들이 '삼국지연의'를 읽고, 청년들은 루쉰의 '광인일기'와 '아큐정전'을 읽습니다. '논어'와 '맹자'는 여전히 삶의 지표가 되고 있으며, 이백과 두보와 도연명의 시를 좋아합니다.
저도 '삼국지연의'를 좋아합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내용은 유비가 백성들을 이끌고 신야(新野)에서 강릉(江陵)으로 피난을 가는 장면입니다. 적에게 쫓기는 급박한 상황에서 하루 10리 밖에 전진하지 못하면서도 백성들에게 의리를 지키는 유비의모습은 '사람이 먼저'라는 저의 정치철학과 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
비취색으로 빛나는 고려청자, 세계 최초로 발명된 고려의 금속활자, 조선의 의학을 집대성한 '동의보감' 등은 당대의 중국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중국 문화의 발전에도 기여하였습니다.
....
1992년 한중 수교는 동북아의 냉전구도를 허물고 끊어졌던 양국의 교류의 역사를 다시 이으려는 지도자들의 위대한 결단산물이었습니다.
....
인류에게는 여전히 풀지 못한 두 가지 숙제가 있습니다. 그 첫째는, 항구적 평화이고 둘째는 인류 전체의 공영입니다. 저는 중국이 더 많이 다양성을 포용하고개방과 관용의 중국정신을 펼쳐갈 때 실현 가능한 꿈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한국도 작은 나라지만 책임 있는 중견국가로서 그 꿈에 함께 할 것입니다
...
2017년 12월 13일은 '난징대학살' 80주년 추모일
..
1932년 4월 29일 상하이 훙커우공원에서 조선청년 윤봉길이 폭탄을 던졌습니다.
이곳에서 개최된 일제의 전승축하기념식을 응징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윤봉길은 한국독립운동사의 영웅 중 한 명입니다. 그의 거사로 한국의 항일운동은 중국과 더 깊게손을 잡게 되었습니다. 현장에서 체포되고 사형되었지만, 지금 루쉰공원으로 이름을바꾼 훙커우공원에는 그를 기념하기 위해 매원이라는 작은공원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참으로 고마운 일입니다.
.....
마오쩌둥 주석이 이끈 대장정에도 조선청년이 함께 했습니다. 그는 한국의 항일군사학교였던 '신흥무관학교' 출신으로 광주봉기(광둥꼬뮌)에도 참여한 김산입니다.
그는 연안에서 항일군정대학의 교수를 지낸 중국공산당의 동지입니다. 저는 엊그제 13일, 그의 손자 고우원(까오위엔) 씨를 만났습니다. 그 분은 중국인이지만 조선인 할아버지를 존경하며 중국과 한국 사이의 깊은 우정으로 살고 계셨습니다.
...
"두 사람이 마음을 함께하면, 그 날카로움은 쇠를 절단할 수 있다(二人同心, 其利斷金)"는 말이 있습니다.
....
저는 지난 여름 휴가기간 중 '명견만리'라는 책을 감명 깊게 읽었습니다. 이 책에는 '중국의 3.0'시대를 이끌어 나가는 중국의 젊은이들에 대한 내용도 있었습니다
...
지금 중국은 드론, VR(가상현실), AI(인공지능) 같은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중심지입니다. 한국의 젊은이들도 ICT 강국의 전통 위에서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미래를 찾고 있습니다.
....
양국은 경제에서 경쟁 관계에 있고, 중국의 성장은 한국 경제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양국의 오랜 역사에서 보듯이, 또한 수교 25년의 역사가 다시 한 번 증명하듯이, 양국은 일방의 번영이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운명공동체의 관계라고, 저는 믿습니다.
그간 전통적 제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양국 간 경제ㆍ통상 협력을 ICT, 신재생 에너지, 보건의료, 여성, 개발, 환경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해야 합니다. 또한, 한중 간 전략적 정책 협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리 정부는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우리 정부가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 간의 연계를 희망합니다.
중국은 제19차 당 대회에서 '새로운 시대'로의 진입을 선언했습니다. 시진핑 주석께서 전면적 소강사회 건설과 '중국의 꿈'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인상 깊게 들었습니다.
한국 정부도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국정기조로 선언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성장을 저해하고 사회통합을 해치는 경제 불평등 문제에 정면으로 맞서기 위해 경제 패러다임을 과감히 전환하고 있습니다
왕안석의 시 명비곡의 한 구절이 떠오릅니다. 인생락재 상지심(人生樂在相知心,'서로를 알아주는 것이 인생의 즐거움이다') 저는 중국과 한국의 관계가 역지사지하며 서로를 알아주는 관계로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출처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121514370766222
아시아 경제
반응형'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이르면 다음주 中제품에 대대적 '관세 폭탄' 본문듣기 (0) 2018.03.17 ECB 총재 "인플레 확신 들면 양적완화 종료" (0) 2018.03.14 콘 전 의장의 뒤를 이을 유력 후보 2명? (0) 2018.03.13 [증시 F·A·C·T] 인플레이션 리스크 공포 (0) 2018.03.09 EU, 유럽판 IMF 만든다…'유럽통화기금' 설립 제안 (0) 2017.12.07 [저금리 시대, 퇴장하다] FOMC가 시장금리 상승 분수령… 예·적금은 뛰는 중 (0) 2017.12.05 닛산 '무인 로봇택시' 3월 시험운행 (0) 2017.12.05 글로벌 채권시장, 내년 '만기 폭탄' 시험대 (0) 2017.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