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런 렝스 부호화(Run-length encoding, RLE) 또는 런 길이 부호화코딩Coding/코딩기초상식_필수지식 2022. 7. 17. 13:05728x90
런 렝스 부호화(Run-length encoding, RLE) 또는 런 길이 부호화
https://ko.m.wikipedia.org/wiki/%EB%9F%B0_%EB%A0%9D%EC%8A%A4_%EB%B6%80%ED%98%B8%ED%99%94런 렝스 부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런 렝스 부호화(Run-length encoding, RLE) 또는 런 길이 부호화는 매우 간단한 비손실 압축 방법으로, 데이터에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것을 그 개수와 반복되는 값만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ko.m.wikipedia.org
반복 길이 부호화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파일 형식으로 PCX, BMP, ILBM 등이 있다
그외에
허프만 부호화
산술 부호화
골룸 부호화
허프만 부호화
https://ko.m.wikipedia.org/wiki/%ED%97%88%ED%94%84%EB%A8%BC_%EB%B6%80%ED%98%B8%ED%99%94허프먼 부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산학과 정보 이론에서 허프먼 부호화(Huffman coding)는 무손실 압축에 쓰이는 엔트로피 부호화의 일종으로, 데이터 문자의 등장 빈도에 따라서 다른 길이의 부호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1952년
ko.m.wikipedia.org
산술 부호화
https://ko.m.wikipedia.org/wiki/%EC%82%B0%EC%88%A0_%EB%B6%80%ED%98%B8%ED%99%94산술 부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앞의 예제에서 같은 메시지가 .534, .535, .536, .537, .538, .539의 어떤 값으로도 부호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진수가 아니라 십진수로 부호화하여 약간의 비효율이 포함되었음을 암시한다. 실
ko.m.wikipedia.org
골룸 부호화
https://ko.m.wikipedia.org/wiki/%EA%B3%A8%EB%A1%AC_%EB%B6%80%ED%98%B8%ED%99%94골롬 부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m.wikipedia.org
다른글 보기
내가 공부하려고 만든 영상
한글양자코딩slq001_양자코딩_윈도우에서 리눅스 가상환경 설치 후 양자코딩준비하기 #quantum #slq #silq
https://youtu.be/klzS-ekfq0s반응형'코딩Coding > 코딩기초상식_필수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 크롬 v8엔진 이해하기 (0) 2022.07.27 노션 사용자의 98%가 이 기능을 모르고 있다!? (0) 2022.07.22 EOF입력 종료 문자(end-of-file) (0) 2022.07.20 LLVM in 100 Seconds | Fireship (0) 2022.07.18 x86 & Arm Rival, RISC-V Architecture Ships 10 Billion Cores (0) 2022.07.11 These 14 Characters Will Crash Your Computer | Low Level Learning (0) 2022.07.08 27년 개발자 실리콘밸리 개발자의 인생 이야기 - (한기용) 1부 - eo (0) 2022.07.06 뇌를 모방한 코딩❤️아이디어 역시 MIT- Vector Machine (0) 2022.06.27